통합검색
SEARCH

게시물 검색 (763 건)

2024년 제4차 안전점검위원회 개최

갤러리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2024년 제4차 안전점검위원회 개최

안녕하세요 경북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입니다. ​ 비로소 계절에 걸맞는 날씨가 왔습니다. 쌀쌀한 추위에 모두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18일, 2024년 제4차 안전점검위원회가 개최되었습니다. ​ 2024년의 마지막 위원회인만큼 아낌없는 고견을 나누어 주셨는데요, ​ 헴프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는 만큼 항상 안전관리를...

행사소식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R]기로에 선 안동 헴프특구.. 종료 '초읽기' / 안동MBC

◀ 앵 커 ▶ 환각성이 없고, 의료적 활용성이 큰 대마를 다른 말로 '헴프'라 부릅니다. 하지만 국내에선 헴프도 마약으로 분류된 탓에 관련 연구와 산업이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국내 헴프 산업을 키워보자고 만들어진 안동의 헴프 규제자유특구 역시 이런 근본적인 규제에 가로막혀 큰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다음 달 종료를 앞...

보도자료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헴프규제특구 이달 말 종료…근본대책 시급

[앵커] 국내에서 대마는 마약류로 지정돼있어 대마를 원료로 한 모든 제품 생산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다만 의료용 대마. 헴프에 대해선 안동을 중심으로 4년 전부터 규제자유특구가 운영돼왔지만, 관련법 개정이 미뤄지면서 이달 말이면 중단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김지홍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마의 꽃과 잎에서 약리 성...

보도자료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의료용 대마, “산업 키우자” vs “오남용 위험”… 당신의 생각은?

해외에서는 만연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유독 금기시되는 천연물이 있다. 바로 '대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마 산업이 커지자, 우리나라에서도 '의료용'에 한해서 대마를 활용해 보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이 국내 의료용 대마 산업의 향방이 좌우되는 중요한 시점이다.정부는 지난 2020년 경상북도 안동시의 일부 지역을 '...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난치병 환자 돕는 의료용 대마…K바이오, 공동연구 가열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해외에서 대마를 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규제 완화가 이어지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의료용 대마 공동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의료용 대마를 활용한 원료의약품 제조기업 네오켄바이오는 한림제약, 한림제약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상명이노베이션,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안동시, ㈜유한건강생활과 '천연물 산업 발전 투자 논의'

안동시와 ㈜유한건강생활이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23일 안동을 찾은 손정수 ㈜유한건강생활 대표이사와 만나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면담에서 지난 6월 취임한 손 대표를 비롯한 ㈜유한 측 임직원과 권기창 안동시장 및 안동시 관계 국·과장이 참석해 헴프 및 ...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네오켄바이오, 경북 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에 천연물 소재 생산센터 가동

의료용 헴프를 활용한 원료의약품 제조기업 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가 경북 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에 있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내 천연물 소재 생산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비마약성 소재 생산에 돌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천연물 소재 생산센터는 식품제조가공업이 등록된 시설로써 앞으로 헴프 씨드(대마 씨앗)를 포함한 비미...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네오켄바이오, 태국 .합작법인 설립...의료용 대마 시장 공략

[바이오타임즈] 의료용 헴프를 활용한 원료의약품 제조기업 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는 대마 유래 소재를 활용한 사업 확대를 위해 태국에 합작기업(Joint Venture)를 설립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태국 방콕에 설립된 합작법인에는 태국의 화장품 기업 2곳이 현지 파트너로서 참여했다. 이 중 합작 벤처에 참여한 태국...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중기부, 올해 말 종료 제3차 규제자유특구 성과 제고 방안 논의

박상돈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규제자유특구 참여기업 협의회를 열어 올해 특구 기간이 종료되는 제3차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이와 관련된 규제 해소 및 사업화 성과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2020년 8월 지정된 제3차 규제자유특구는 코로나19 감염병 대응력...

산업동향 ·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