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헴프는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안전하게 관리된 헴프에 한해
합법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ANC▶
미국은 대부분 주에서 의료용 대마, 즉 헴프를
합법화하며 대마 산업이 가장 활성화된 나라 중
한 곳입니다.
대마의 약용성분조차 마약류로 묶여 사용할 수 없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에서는
일상 속에서도 대마 성분이 들어간 제품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
미국 헴프 산업의 현주소를
김경철 기자가 현지에서 취재했습니다.
◀END▶
◀VCR▶
대마가 합법화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대형마트 매대에서 대마 추출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대마의 약용성분인 CBD가
들어간 제품은 큰 인기입니다.
동네 식료품점에는 아예 매대 한쪽이 전부
CBD 제품으로 진열돼 있습니다.
로션부터 식용 오일과 젤리까지 종류도
다양합니다.
[S/U] "한국과 달리 이곳 미국 캘리포니아에는 CBD 관련 시장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데요.
이렇게 길거리에서도 CBD 스토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환각성분이 없는 CBD가
불면증과 관절염, 불안감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손님들은 아예 자신의 증상에 맞는 제품을
골라 구입하기도 합니다.
◀SYN▶ 알랜 / 손님
"CBD와 국소 연고를 찾고 있는데요.
CBD는 팅크제(알코올에 혼합한 약)로 주세요."
[S/U] "CBD가 들어간 젤리부터 음료수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있는데요. 음료수에 보니까
'불안한 마음을 해소해 준다'고 적혀
있습니다."
--------------------------------------------
미국에서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티셔츠와 건축자재까지,
2만 5천 가지 이상의 제품이 대마, 즉 헴프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수확된 헴프나 추출된 CBD 오일을 대량으로
사 온 뒤, 가공해 판매하는
CBD 제품 도매상까지 등장했습니다.
[S/U] "농장에서 수확된 헴프는 이렇게 건조된 형태로 이곳에 옮겨지는데요. 여기서 줄기와
잎은 제거하고 꽃만 남도록 가공 과정을
거칩니다."
◀INT▶ 라이언 글래서 / CBD 도매상
"헴프에는 많은 유익한 점이 있다고 생각해요. 식용뿐만 아니라 에너지, 연료,
제조업에서도요. (헴프 산업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이들이 이토록 대마 산업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한 마디로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INT▶ 라이언 글래서 / CBD 도매상
"2018년 '미국 농업법'이 통과된 후,
(헴프 산업이) 미국 내에서는 7조 8천억 원,
그리고 세계적으로는 26조 원가량
성장했습니다."
캘리포니아주가 대마 산업으로 벌어들인 세수는
올 한 해만 7천억 원이 넘습니다.
미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합법화된 대마 시장은
연평균 25.3% 성장해, 오는 2030년엔
175조 원까지 커질 걸로 전망됩니다.
MBC뉴스 김경철입니다. (영상취재 임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