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COMMUNITY
'한의학박사' 박현제 천연물연구소장, 의료용 대마 '헴프' 연구 성과
경북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48
http://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10191800394160106235

전체기사

[유한건강생활을 움직이는 사람들]'한의학박사' 박현제 천연물연구소장, 의료용 대마 '헴프' 연구 성과③'C&D·오픈이노베이션' 사업화 기틀, 개별인정형 독점 소재 식약처 인증 눈앞

이우찬 기자공개 2023-10-26 08:53:52

[편집자주]

유한건강생활은 고(故) 유일한 박사가 세운 유한양행의 미래전략실 내 푸드앤헬스(Food&Health) 사업부가 2019년 10월 분사해 탄생했다. 뷰티·헬스 전문으로 시작해 건기식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95년 이상 축적된 생약과 천연물 관련 유한의 연구 노하우가 최대 자산으로 꼽힌다. 분사 후 외형 성장을 이룬 가운데 올해 상반기 처음 흑자를 기록했다. 일선에서 유한건강생활의 건강한 성장을 이끄는 핵심 인물들의 면면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3일 10:2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현제 건강생활연구소 유한천연물연구소장(사진)은 유한건강생활 경쟁력의 원천인 천연물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는데 주력하는 인물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인증을 받은 개별인정형 건기식 소재를 발굴해 시장 지배력을 확장하는 게 목표다. 동물성 천연물에서 유래한 독점 소재는 식약처 인증을 눈앞에 두고 있다.

박 소장은 화학 전문가이자 한의학 전문가로 통한다. 제약 기반 천연물 연구를 핵심으로 하는 유한건강생활의 R&D를 지휘하는 인물로 그만한 적임자는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3년생으로 연세대 화학과를 졸업한 박 소장은 동대학원에서 이학석사(분석화학) 학위를 받았다. 동시에 원광대 한의학 박사이기도 하다. 2003년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에 입사한 뒤 15년여 동안 천연물 신약 주요 과제 책임자로 일했다. 2018년 유한양행 푸드앤헬스(Food&Health) 사업부 부장으로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물질 소재 연구를 총괄했다. 2021년 8월 유한건강생활의 건강생활연구소 유한천연물연구소장으로 발탁됐다.

의료용 대마 '헴프' 연구 지휘, 오픈이노베이션 성과

유한건강생활은 유한양행의 제약 기반 R&D 노하우를 바탕으로 천연물 개발에 몰두하는 기업이다. 유한양행 창업주인 고 유일한 박사도 한국 인삼 등 천연물의 새로운 가능성을 새롭게 보고 세계적으로 알리는데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이 같은 연구 철학을 계승해 천연물 가치를 재발견하고 과학적 검증으로 뒷받침하는 일을 박 소장이 지휘한다. 혁신적인 헬스케어·라이프스타일 제품과 서비스 출시로 시장을 이끈다는 전략이다.

박 소장은 "철저한 품질 관리와 안전성(독성), 명확한 작용기전 기반 효능을 토대로 한 제약 기반 R&D 노하우는 천연물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약과 동일하게 세포·동물시험을 통해 검증된 기능성이 실제 인체에 동일한 기전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그는 "수많은 성분 중 핵심을 고함량으로 포함하기 위한 천연물 내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정제하는 내부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동물성 천연물 원료의 경우 표준화하기 더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유한건강생활이 개별인정형 원료로 사업화를 준비하는 소재는 동물성 천연물 원료에서 유래했다. 박 소장은 "우수한 효능에도 기능 성분을 찾고 표준화하는 부분에 어려움 있었지만 내부 연구 역량을 결집해 표준화 연구를 거듭했다"며 "식약처 인증을 앞두고 있다"고 돌아봤다.

유한건강생활은 한의학·약학·화학·화학공학·생명공학·식품생명·식품영양 등 다양한 전문성을 지닌 인력 구성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지향한다. 의료용 대마 '헴프' 연구는 오픈이노베이션 성공 사례로 꼽힌다.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마약류 규제 탓에 사업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박 소장은 "국내 플랫폼 기업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마약류가 합법인 미국 대마 전문기업인 KRTL홀딩그룹을 비롯한 미국 연구 기관·기업과의 MOU로 사업화 진행에 속도가 붙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능성의 우수한 천연물 소재 선정이 중요하다"며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과 플랫폼 기술 파트너사와 협업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물성 천연물 원료 유래 개별인정형 소재, 식약처 인증 눈앞

유한천연물연구소는 유한건강생활의 신성장 동력인 개별인정형 소재 연구에도 공들인다. 시장성이 높은 기능성을 분석하고 우수한 효능의 천연물 소재 발굴에 중점을 둔다. 박 소장은 "유한건강생활의 독점적이고 차별화된 천연물 소재 발굴을 위해서 내부적으로 구축된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통해 스크리닝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외부 다양한 우수 연구기관과 C&D(Connect & Development)로 초기 단계부터 우수한 소재를 검토하고 내부에서 검증한다"며 "공동 연구와 라이센싱을 통한 독점적인 권리 확보를 최우선 전략으로 설정하고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 가장 큰 목표는 식약처 허가 인증을 받은 개별인정형 건기식 소재를 확보하는 일이다. 박 소장은 "인체적용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식약처 허가 승인 과정 일정을 준수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언급했다.

박 소장은 "독자적인 개별인정형 소재를 발굴하고 사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를 확보하는 것은 유한건상생활의 차별화된 핵심 가치로 미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Total : 297
#
언론사명
제목
날짜
297
조선비즈
25.05.08
296
바이오타임즈
25.04.22
295
헬스조선
24.11.05
294
뉴시스
24.11.03
293
헬스조선
24.10.25
292
안동MBC NEWS
24.10.10
291
뉴시스
24.10.08
290
매일신문
24.09.25
289
약업신문
24.08.27
288
대경일보
24.07.16
287
연합뉴스
24.06.25
286
뉴시스
24.06.20
285
디지털타임스
24.06.09
284
바이오타임즈
24.06.03
283
SBS biz
24.05.29
282
뉴시스
24.05.24
281
안동MBC NEWS
24.05.22
280
팜뉴스
24.05.02
279
이데일리
24.05.01
278
NSP통신
24.04.30